추석명절 보내기 | 김승규 | 2011-09-10 | |||
|
|||||
추석명절 보내기 이렇게 하는 것이 성도들에게도 홀가분한 마음으로 명절을 보내지 않을까 싶었기 때문이다. 주일저녁을 붙들고 있는 목사, 새벽예배를 붙들고 있는 목사로 인해 몸은 예배당에 올지라도 마음은 콩밭에 가 있다면 이 것도 문제가 아니겠는가? 물론 이 것도 예배를 그 무엇보다 소중히 여기는 교회 1세대들에게서나 모습에서 나타나는 모습이긴 하지만 우리의 신앙이 의무적인 것이 된다면 이 것은 슬픔이다. 나는 진실로 성도들이 신앙생활의 기쁨과 감사, 행복을 누리기를 원한다. 또 그렇게 될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의 예배와 삶을 받으시리라 믿기 때문이다. 명절 때마다 제사문제로 마음이 어려운 가정들이 있다. 기도하며 도와야 할 부분은 최선을 다해 돕지만 믿음으로 인해 참여하지 못한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. 이 것은 예의나 문화차원이 아닌 신앙의 문제다. 추석명절 신앙인은 누구보다 부모님과 형제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주어야 하고 덕을 끼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고 함께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시간들이 되기를 기도한다. 1. 반드시 감사 예배를 드리라 : 모든 결실은 하나님의 은혜가운데 되어진 일이다. 모든 것은 하나님께로부터 온다는 것을 안다면 한 해의 결실을 기억하며 감사하는 추석은 하나님께 예배드림이 마땅한 일이다. 2. 부모님과, 형제분들에게 고마움을 표하라 : 조상제사가 주는 한 가지 유익이 있다. 그것은 형제들을 모이게 하는 데 있다. 제사가 없어지고 나면 모이지 않는 까닭에 문제가 생긴다. 먼저 믿은 자들이 형제, 자매의 소중함에 감사하고 작은 정성을 표하며 모이는 일에 관심을 가져 형제우의를 다진다면 그리스도의 덕을 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. 함께 모여 축복하고 즐겁게 함께 할 수 있는 일들을 도모하라. |
댓글 0